[카드뉴스] 국토교통부 통계누리 3월 통계이야기 > 국토부 부동산뉴스

아파트케이 아파트에 대한 모든 정보

국토부 부동산뉴스
아파트K 뉴스 국토부 부동산뉴스

[카드뉴스] 국토교통부 통계누리 3월 통계이야기

페이지 정보

profile_image
작성자 아파트K
댓글 0건 작성일 25-05-14 00:02

본문

국토교통부 통계누리 3월 통계이야기 우리나라 국토면적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아요~ - 2024년말 기준 지적통계 -

최근 10년 국토면적 변동 추이  - '24년말 기준 국토면적은 100,459.9㎢로, 인천시 경제자유구역 공구 매립준공, 전남 남악 오룡지구 택지개발사업 등 지속적인 토지개발사업에 따라 전년대비 10.5㎢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.   2014년: 100,284㎢   2015년: 100,295㎢   2016년: 100,364㎢   2017년: 100,340㎢   2018년: 100,401㎢   2019년: 100,378㎢   2020년: 100,413㎢   2021년: 100,432㎢   2022년: 100,444㎢   2023년: 100,449㎢   2024년: 100,460㎢  지적통계란?  - 토지·임야대장에 등록된 정보를 기초로 행정구역별, 토지의 종류별, 소유별로 필지와 면적을 집계하여 매년 공표하는 국가승인통계입니다.

시도별 면적 현황  -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면적이 큰 지역은 경북(18.3%), 강원(16.8%), 전남(12.3%)이며, 작은 지역은 세종(0.5%), 광주(0.5%), 대전(0.5%) 순으로 나타났습니다.   경북: 18,428.1㎢   강원: 16,830.8㎢   전남: 12,363㎢   경남: 10,542.6㎢   경기: 10,201.2㎢   충남: 8,247.7㎢   전북: 8,075.0㎢   충북: 7,406.9㎢   제주: 1,850.2㎢   대구: 1,499.5㎢   인천: 1,069.5㎢   울산: 1,062.9㎢   부산: 771.3㎢   서울: 605.2㎢   대전: 593.8㎢   광주: 501.0㎢   세종: 465.0㎢

주요시설 면적 증감 추이(2014년말~2024년말)  - 지난 10년간 산림·농경지의 면적은 감소한 반면, 생활기반 시설, 산업기반 시설, 교통기반 시설, 휴양·여가 시설의 면적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  산림·농경지(-1,630.1㎢, -2%)_임야, 과수원, 답, 전   생활기반 시설(+207.5㎢, +16%)_대, 학교용지   산업기반 시설(+276.7㎢, +28%)_창고용지, 공장용지   교통기반 시설(+3473.9㎢, +13%)_주유소, 도로, 철도, 주차장   휴양·여가 시설(+254.1㎢, +47%)_ 공원, 체육공원, 유원지   *()안의 비융ㄹ은 전체 국토면적 대비 증감률이 아닌, 각 시설별 국토면적 대비 증감률입니다.

토지이용 현황(지목 기준)  - 토지이용이 가장 높은 지목은 임야(63.0%), 답(10.8%), 전(7.4%) 순이며, 지난 10년간 임야, 답, 전 면적은 각각 1.2%, 5.4%, 3.4% 감소한 반면, 대지와 도로 면적은 각각 16.8%, 13.1%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  <2024년 토지 이용 현황>   전: 7,451㎢(▼3.4%, 11,581㎢)   답: 10,895㎢(▼5.4%, 11,043㎢)   임야: 63,328㎢(▼1.2%, 64,081㎢)   대: 3,420㎢(▲16.8%, 2,929㎢)   도로: 3,497㎢(▲13.1%, 3,093㎢)   하천: 3,873㎢(▲0.9%, 2,849㎢)   기타: 8,992㎢(▲11.0%, 8,098㎢)    <주요 증가 지목>   대   2014년: 2,929㎢   2015년: 2,983㎢   2016년: 3,040㎢   2017년: 3,093㎢   2018년: 3,143㎢   2019년: 3,195㎢   2020년: 3,243㎢   2021년: 3,291㎢   2022년: 3,342㎢   2023년: 3,382㎢   2024년: 3,420㎢      도로   2014년: 3,093㎢   2015년: 3,144㎢   2016년: 3,198㎢   2017년: 3,251㎢   2018년: 3,306㎢   2019년: 3,346㎢   2020년: 3,386㎢   2021년: 3,421㎢   2022년: 3,453㎢   2023년: 3,479㎢   2024년: 3,497㎢   *기타: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제 67조에 따른 28종 지목 중 전, 답, 임야, 대, 도로, 하천을 제외한 지목

토지 소유자별 국토면적 현황  - 토지소유자별 면적의 비율은 개인(49.6%), 국유지(25.6%), 법인(7.6) 순이며, 지난 10년간 국유지, 군유지, 법인소유 토지의 면적이 각각 3.6%, 10.3%, 13.2%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  <2024년 토지 소유자별 국토면적 현황>   개인: 49,780㎢(▼4.6%, 52,186㎢)   국유지: 25,706㎢(▲3.6%, 24,806㎢)   도유지: 2,913㎢(▲6.8%, 2,728㎢)   군유지: 5,652㎢(▲10.3%, 5,126㎢)   법인: 7,616㎢(▲13.2%, 6,729㎢)   종중: 6,650㎢(▼1.6%, 6,545㎢)   종교단체: 1,101㎢(▼3.3%, 1,066㎢)   기타단체: 722㎢(▼5.5%, 764㎢)   기타: 315㎢(▼5.1%,333㎢)    <토지 소유자별 면적 현황>   국유지   2014년: 24,806㎢   2015년: 24,936㎢   2016년: 25,069㎢   2017년: 25,172㎢   2018년: 25,269㎢   2019년: 25,350㎢   2020년: 25,429㎢   2021년: 25,504㎢   2022년: 25,570㎢   2023년: 25,655㎢   2024년: 25,706㎢      법인   2014년: 6,729㎢   2015년: 6,748㎢   2016년: 6,787㎢   2017년: 6,882㎢   2018년: 7,008㎢   2019년: 7,120㎢   2020년: 7,245㎢   2021년: 7,365㎢   2022년: 7,497㎢   2023년: 7,556㎢   2024년: 7,616㎢    군유지   2014년: 5,216㎢   2015년: 5,170㎢   2016년: 5,225㎢   2017년: 5,275㎢   2018년: 5,313㎢   2019년: 5,371㎢   2020년: 5,433㎢   2021년: 5,489㎢   2022년: 5,543㎢   2023년: 5,598㎢   2024년: 5,652㎢   *기타단체: 법인이 아닌 마을 공동재산, 동·리 등의 명의로 등록된 토지   **기타: 소유자미복구, 창씨명, 외국인 및 외국기관 등의 명의로 등록된 토지  더 많은 통계가 궁금하다면 국토교통 통계누리(https://stat.molit.go.kr)를 방문하세요!

 
...

... [더보기]